-목차-
1. Block Port 지정 방법
2. 실습
STP 개념에 대해서는 이전 글 참고
패킷트레이서_STP(Spanning Tree Protocol)
1. STP (Spanning Tree Protocol) STP는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발생하는 루핑(Looping)을 막아주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스위치나 브리지 구성에서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두 개 이상 존재할 때 한
xinyub.tistory.com
안녕하세요! 지난 게시글에서는 STP에 대한 개념과 어느 port가 Block port가 되는지 찾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내가 원하는 Port를 Block port로 설정하는 2가지 방법과 PVS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VST (Per-VLAN Spanning Tree Protocol)은 저번 게시물에서 다룬 STP를 vlan별로 구현한 것입니다.
1. Block Port 지정 방법
1. Root 지정
#spanning-tree vlan xx root [primary/secondary]
Root Bridge가 될 스위치엔 primary
Backup Root Bridge가 될 스위치엔 secondary
2. Priority 지정
#spanning-tree vlan xx priority [Bridge ID]
Root Bridge가 될 스위치엔 Backup Root Bridge보다 낮은 Bridge ID 설정. 4096의 배수로 설정
2. 실습
Block Port 지정부터 PVST까지 여러개의 실습을 다뤄보겠습니다.
2-1. Block Port 지정 실습1 - root 지정
1. Block port로 하고 싶은 포트를 지정. Block Port와는 가장먼 곳이 Root Bridge, 다른 한곳이 Backup Root Bridge가 됩니다.
2. 일단 연결을 해보겠습니다. 원하는 곳이 아닌 포트가 Block 된것 확인
3. Root Bridge가 될 스위치 설정. root primary 설정 함으로써 Root Bridge로 만들어줍니다.
4. Priority가 바뀐것 확인
5. BackUp Root Bridge가 될 스위치 설정
6. 바뀐 Priority 확인. Root Bridge보단 높은 숫자인것 확인
7. 원했던 곳 Block 확인
2-2. Block Port 지정 실습2 - root 지정
1. 스위치가 하나 늘어난 것 빼고는 위와 동일한 토폴로지. Block Port 를 지정하고 Root Bridge, Backup Root Bridge를 지정. 일단 연결을 해보니 원하지 않은곳에 Block 된 것 확인.
Block Port랑 가장 먼곳이 Root Bridge, 남은 두개 중 BlockPort가 연결되지 않은곳이 더 강할테니 Backup Root Bridge
2. Root Bridge가 될 스위치6번 설정
3. Backup Root Bridge가 될 스위치 4번 설정
4. 원하는곳 Block 확인.
2-3. Block Port 지정 실습3 - priority 지정
1. 원하는곳 Block port 지정
2. Root Bridge가 될 스위치 설정. Priority 4096으로 설정
3. Backup Root Bridge가 될 스위치 설정. priority 8192 (4096*2) 설정. Root Bridge보다 높게 설정해주면 됩니다
4. 원하는 곳 Block 확인
2-4. Block Port 지정 실습4 - priority 지정
1. 원하는 곳에 Block port 설정. Root Bridge와 Backup root Bridge도 미리 정하고 설정 시작하겠습니다.
Root Bridge와 Backup Root Bridge를 지정하는 방법은 위에서 말씀드린것과 같습니다.
2. Root Bridge가 될 스위치 설정
3. Backup Root Bridge가 될 스위치 설정
4. 원하는 곳 Block 확인
2-5. PVST 실습
1. 토폴로지
2. 스위치14 vlan 설정
3. 스위치15 vlan 설정
4. 스위치16 vlan 설정
5. 각 vlan에 대해서 Root Bridge와 Backup Root Bridge 지정
6. 스위치 14는 vlan 10에 대하여 Root Bridge, vlan 20에 대하여 Backup Root Bridge 설정
7. 스위치 16은 vlan 20에 대해서만 Root Bridge 지정
8. 스위치 15는 vlan 10에 대해서만 Backup Root Bridge 설정
9. vlan 10 포트 연결 후 원하는곳에 Block 설정 확인
10. vlan 20 포트 연결 후 원하는곳에 Block 설정 확인
2-6. PVST 실습2
1. 토폴로지. 지금까지 다룬 모든것을 종합한 실습입니다. PVST에 root, priority 방법 을 사용하여 실습 진행.
vlan 10, 30은 root 변경
vlan 20, 40은 priority 변경. Root Bridge는 12288, Backup Root Bridge는 16384로 변경 예정.
원하는 곳에 vlan 마다 Block Port 지정
2. 먼저 각 vlan마다 Root Bridge와 Backup Root Bridge 설정
3. 스위치 17 vlan 생성 및 switchport acceess
4. vlan 20 Backup Root Bridge 지정. priority 16384
vlan 30 Root Bridge 지정
5. 스위치 18 vlan 생성 및 switchport acceess
6. vlan 10 Backup Root Bridge 지정.
vlan 20 Root Bridge 지정. priority 12288
7. 스위치 19 vlan 생성 및 switchport acceess
8. vlan 30 Backup Root Bridge 지정.
vlan 40 Root Bridge 지정. priority 12288
9. 스위치 20 vlan 생성 및 switchport acceess
8. vlan 10 Root Bridge 지정.
vlan 40 Backup Root Bridge 지정. priority 16384
9. Block port확인. 몇번 port인지 확인이 힘들어서 따로 vlan 번호를 써두었습니다. 원하는 곳이 모두 Block된 것 확인.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_서버, 라우터 DHCP (0) | 2022.05.18 |
---|---|
네트워크_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0) | 2022.05.18 |
네트워크_STP(Spanning Tree Protocol) (0) | 2022.05.12 |
네트워크_intervlan 실습 2 (0) | 2022.05.12 |
네트워크_intervlan 개념 및 L3 실습 (0) | 2022.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