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습
1. 실습
1-1. 토폴로지
1-2. 좌측 토폴로지, 첫 번째 스위치 설정 (SVI)
vlan 생성 → 해당하는 포트에 switchport access → encapsulation dot1q → switch mode trunk
1-3. 좌측 토폴로지, 세 번째 스위치 설정 (SVI)
vlan 생성 → 해당하는 포트에 switchport access → encapsulation dot1q → switch mode trunk
1-3. 좌측 토폴로지, 두 번째 스위치 설정 (SVI)
라우터로 사용할 스위치. 양쪽에서 트렁크 모드 선언했기 때문에 안 해도 됩니다.
vlan 생성 → 해당하는 포트에 switchport access
1-4. 좌측 토폴로지, 두번째 스위치 설정 (SVI)
각 vlan에 ip 할당
1-5. 좌측 토폴로지, 두번째 스위치 설정 (SVI)
각 vlan에 ip 할당
1-6. 핑 테스트
1-7. 우측 토폴로지, 첫번째 스위치 설정 (Static Routing)
vlan 생성 → 해당하는 포트에 switchport access → 각 vlan에 ip 추가
1-8. 우측 토폴로지, 첫번째 스위치 설정 (Static Routing)
각 vlan에 ip 추가 (f0/24 같은 경우에는 no switchport 선언을 해줘야 ip 추가 가능)
ip route 추가
1-9. 우측 토폴로지, 두번째 스위치 설정 (Static Routing)
vlan 생성 → 해당하는 포트에 switchport access → 각 vlan에 ip 추가
1-10. 우측 토폴로지, 두번째 스위치 설정 (Static Routing)
f0/24 같은 경우에는 no switchport 선언을 해줘야 ip 추가 가능
1-11. 우측 토폴로지, 두번째 스위치 설정 (Static Routing)
ip route 추가
1-12. 우측 토폴로지, 세번째 스위치 설정 (Static Routing)
vlan 생성 → 해당하는 포트에 switchport access → 각 vlan에 ip 추가
1-13. 우측 토폴로지, 세번째 스위치 설정 (Static Routing)
ip route 추가
1-14. 핑 테스트
1-15. 핑 테스트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_STP(2), PVST (0) | 2022.05.16 |
---|---|
네트워크_STP(Spanning Tree Protocol) (0) | 2022.05.12 |
네트워크_intervlan 개념 및 L3 실습 (0) | 2022.05.12 |
네트워크_VTP (0) | 2022.05.11 |
네트워크_VLAN, 허브, 스위치, TRUNK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