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허브
2. 스위치
3. VLAN
4. Trunk
5. 패킷트레이서 실습
1. 허브
이더넷 허브는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한대의 허브를 중심으로 여러 대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가 마치 별 모양으로 서로 연결되며, 같은 허브에 연결된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는 모두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게 된다.
허브 단점
자신의 인터페이스 연결된 컴퓨터의 MAC Address를 저장/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에 대한 정보를 갖지 않는다.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모든 포트에 패킷을 전달하여야 하고, 이런 이유로 연결된 컴퓨터가 많아지게 되면 속도가 느려지고 충돌 또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가 스위치다.
2. 스위치
다수의 컴퓨터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주는 역할은 허브와 동일하다. 하지만 허브의 단점인 MAC Address 저장/관리 문제를 해결한 장치로서,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한 컴퓨터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목적지 포트에만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치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가격이 비싸다는 것인데, 요즘 들어서는 스위치의 가격 또한 점점 내려가는 추세다. 허브와 스위치의 가장 큰 차이점은 VLAN이며 패킷 트레이서에서 이를 다루는 것이 이번 게시글의 목표이다.
3. VLAN (Virtual LAN)
물리적인 망 구성과는 상관없이 가상적으로 구성된 근거리 통신망(LAN). LAN 스위치나 비동기 전송 방식(ATM 스위치를 사용해서 물리적인 배선에 구애받지 않고 방송 패킷(broadcast packet)이 전달되는 범위를 임의로 나누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가상 랜(VLAN)에 속한 단말들은 같은 LAN에 연결된 것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LAN 스위치를 거쳐 가상 랜(VLAN)을 구성하기 위해 IEEE 802.1Q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상랜 [Virtual Local Area Network, 假想-]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VLAN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는 VLAN을 다수 생성할 수 있고, 이 VLAN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눌 수 있다. 이렇게 나누어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VLAN이 설정된 포트에 연결된 단말의 IP 대역만이 통신이 가능하며, 다른 VLAN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Layer 3 이상의 스위치 혹은 라우터를 통해야만 가능하다. VLAN은 1 ~ 4096까지의 번호를 사용하여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VLAN ID라고 한다.
즉, VLAN은 브로드캐스트가 서로 미치지 않는 여러 개의 논리적인 LAN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4. TRUNK (Tagging)
VLAN을 추가 할때마다 VLAN 하나에 포트 하나를 할당한다면.. 듣기만 해도 비효율적이다. VLAN ID는 1~4096이라 하였으니 전부 사용할 때는 4096개의 포트가 필요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VLAN이 하나의 포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기능이 TRUNK(Tagging)이다.
트렁크는 스위치와 스위치의 프레임 전달 시에 하나의 포트에 다수의 VLAN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링크이다. 이 트렁크 설정이 적용된 양쪽 스위치의 포트를 트렁크 포트라고 부른다.
5. 패킷 트레이서 실습
5-1. 문제
5-2. 1층설정-스위치 VLAN 설정
5-3. 1층설정-생성된 VLAN 확인
5-4. 1층설정-트렁크 모드 설정
5-5. 2층설정-스위치 VLAN 설정
5-6. 2층설정-생성된 VLAN 확인
5-7. 2층설정-트렁크 모드 설정
5-8. Sales팀은 1층과 3층에 존재하므로 통신하기 위해 중간 2층에 vlan 200 sales 추가
5-9. 3층설정-스위치 VLAN 설정
5-10. 3층설정-생성된 VLAN 확인
5-11. 3층설정-트렁크 모드 설정
5-12. Infra팀은 2층과 4층에 존재하므로 통신하기 위해 중간 3층에 vlan 400 Infra 추가
5-13. 4층설정-스위치 VLAN 설정
5-14. 4층설정-생성된 VLAN 확인
5-15. 1층 IP 설정
5-16. 2층 IP 설정
5-17. 3층 IP 설정
5-18. 4층 IP 설정
5-19. 1층 SALES -> 3층 SALES 핑 테스트
5-20. 2층 INFRA -> 4층 INFRA 핑 테스트
5-21. 2층 TECH -> 3층 TECH 핑 테스트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_intervlan 개념 및 L3 실습 (0) | 2022.05.12 |
---|---|
네트워크_VTP (0) | 2022.05.11 |
무선 네트워크_WEP, WPA, WPA2 암호화 방식 (0) | 2022.04.29 |
네트워크_DHCP, FTP, MAIL, AAA (0) | 2022.04.28 |
패킷트레이서_네트워크 예제 풀이4 (0) | 2022.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