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제 1
2. 예제 2
1. 예제 1
1-1. 문제
1-2. 1.1.66.0/22의 네트워크를 나눠보면, 1.1.66.0은 1.1.64.0~1.1.67.255 사이에 위치합니다. 1.1.64.0은 network id, 1.1.67.255는 브로드캐스트로 사용합니다.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는 1.1.64.1~1.1.67.254입니다.
자 이제 문제에 맞춰서 ip, subnet mask, gateway, dns를 설정해줬습니다.
1-3. 첫 번째 서버의 IP를 설정해주는 모습입니다.
1-4. 첫번째 PC의 IP를 설정해주는 모습입니다.
1-5. 라우터 설정에서 0/0 포트의 IP를 설정해주는 모습입니다.
1-6. 완성된 모습입니다. 모두 초록불로 켜졌습니다.
1-7. 간단한 핑 테스트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모습입니다.
2. 예제2
2-1. 문제
2-2.
IP : 1.1.1.0, S.M : 255.255.255.0입니다. /24의 같은 경우에는 네트워크 개수가 1개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서울 네트워크, 부산 네트워크, 라우터끼리의 네트워크 총 3개의 네트워크가 필요합니다. 저희는 한 개의 네트워크를 각각 운용하는 서버와 PC의 개수에 따라 나눠줄 겁니다.
우선 전체 네트워크 : 1.1.1.0~1.1.1.255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 : 1.1.1.1~1.1.1.254 (네트워크 IP, 브로드캐스트 제외)
2-3. 나눠준 네트워크를 문제의 조건에 따라 입력한 값입니다.
2-4. 서버 1 IP 정보 입력
2-5. PC1 IP 정보 입력
2-6. 서버 2 IP 정보 입력
2-7. PC2 IP 정보 입력
2-8. 라우터 1 0/0포트 ip 입력
2-9. 라우터1 0/1 포트 IP 입력, 라우터끼리의 통신을 위해 ip route 입력.
# ip route [destination IP] [Subnet-mask] { interface | address}
2-10. 라우터 2 0/0포트 IP 입력
2-11. 라우터2 0/1 포트 IP 입력, 라우터끼리의 통신을 위해 ip route 입력.
2-12. 서버 1→라우터 1, 라우터 2, 서버 2로의 핑 테스트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킷트레이서_네트워크 예제 풀이4 (0) | 2022.04.15 |
---|---|
패킷트레이서_네트워크 예제 풀이3 (0) | 2022.04.12 |
패킷트레이서_네트워크 예제 풀이2 (0) | 2022.04.08 |
패킷트레이서_라우터 실습 (0) | 2022.04.07 |
네트워크_IP Address & Subnet_class, cidr, 서브네팅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