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라우터 실습
1. 라우터 실습
<예제>
- 라우터 이름은 Seoul_R1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 진입 시 평문 패스워드는 babo1
- 사용자 모드에서 관리자 모드 진입시 암호화 패스워드는 babo2
- 모든 평문으로 된 패스워드 암호화
- 명령어가 잘못 되어도 DNS에서 찾지 않게 설정
- 콘솔 접속 시 반드시 패스워드를 묻게 설정 babo3
- 콘솔 접속 화면은 로그아웃되지 않게 설정
- 인터페이스 등이 활성화되어도 입력하던 명령어는 잘리지 않게 설정.
- gateway 주소 입력 후 인터페이스 활성화 할 것
- telnet 접속 활성화, 패스워드는 babo4
1-1. #hostname [변경할 이름]으로 라우터 이름을 변경해줍니다.
1-2. 관리 모드 진입 시 패스워드를 babo1로 지정해줍니다.
#enable password babo1
1-3. 비밀번호 설정이 잘되었는지 확인하는 모습입니다.
1-4.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설정해줍니다. 패스워드는 babo2입니다.
#enable secret babo2
1-5. show runnig-config으로 암호를 확인해본모습입니다.
secret은 암호화된 모습이고, password는 평문으로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두 개 모두 설정되어있으면 secret이 우선적으로 적용됩니다.
1-6. 만약 잘못된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DNS에서 찾느라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됩니다.
ctrl + shift + 6로 일단 탈출.
1-7. 위에 문제를 해결합니다.
#no ip domain-lookup
1-8. 모든 평문으로 된 패스워드를 암호화합니다.
#service password-encryption
1-9. 평문으로 되어있던 babo1 패스워드도 암호화된 모습입니다.
1-10. 콘솔 패스워드를 설정해줍니다. 패스워드는 babo3, 로그인 시 패스워드를 물어보게 설정합니다.
#line con 0
#password babo3
#login
1-11. reload후 모습입니다. 패스워드를 물어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2. 콘솔 접속 화면은 로그아웃되지 않게 설정합니다. 이 설정을 해주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나면 자동 로그아웃되어 귀찮아질 수도 있습니다.
#exec-timeout 00
인터페이스 등이 활성화되어도 입력하던 명령어는 잘리지 않게 설정해줍니다.
#logging synchronous
1-13. gateway 주소 입력 후 인터페이스 활성화해줍니다.
#interface fastEthernet 0/0
#ip address
1-14. 원격 접속을 설정해줍니다. 패스워드는 babo4입니다.
'IT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킷트레이서_네트워크 예제 풀이4 (0) | 2022.04.15 |
---|---|
패킷트레이서_네트워크 예제 풀이3 (0) | 2022.04.12 |
패킷트레이서_네트워크 예제 풀이2 (0) | 2022.04.08 |
패킷트레이서_네트워크 예제 풀이 (0) | 2022.04.08 |
네트워크_IP Address & Subnet_class, cidr, 서브네팅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