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Docker]_도커란? 컨테이너란? 도커 설치
·
IT/Docker
- 목차 - 1. 도커란? 2. 컨테이너란? 3. 도커 설치 4. 컨테이너 생성 및 삭제 5. 이미지 검색 1. 도커란? -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 다양한 프로그램 및 실행 환경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고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램의 배포및 관리 단순화 - 빠르고, 가볍운게 특징 - 예를 들어 웹 페이지 10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엔 VMware에서 리눅스 10대를 설치하여 사용했다치면, 도커에서는 하나의 계정에서 웹페이지 10개 구현 가능 2. 컨테이너란? - Image를 실행한 상태 (중요) - 격리된 공간에서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기술 - 가상화 기술의 하나이지만 기존 방식과 차이가 있음 - 프로세스를 격리시키기 때문에 가볍고 빠름 - CPU나 Memory 역시 딱 필요..
AWS_관리형 서비스로 서버리스 아키텍처 구현
·
Cloud/AWS
- 목차 - 1. 서버리스 아키텍처 실습 1. 서버리스 아키텍처 실습 # Load-Inventory Lambda function # # This function is triggered by an object being created in an Amazon S3 bucket. # The file is downloaded and each line is inserted into a DynamoDB table. import json, urllib, boto3, csv # Connect to S3 and DynamoDB s3 = boto3.resource('s3') dynamodb = boto3.resource('dynamodb') # Connect to the DynamoDB tables inventoryTab..
AWS_CloudFormation
·
Cloud/AWS
1. 네트워크/애플리케이션 계층 배포 1-1. create stack 1-2. stack 생성 진행 2. Designer 사용하여 템플릿 시각화
AWS 가이드, SAA-C02 개념 정리
·
Cloud/AWS
Architecting on AWS 6.8 (KO): Student Guide를 학습하며 직접 요약한 내용입니다. - 목차 - 01_AWS 소개 02_가장 간단한 아키텍처 03_컴퓨터 계층 추가 04_데이터 베이스 계층 추가 05_AWS 네트워킹 1부 06_AWS 네트워킹 2부 07_AWS IAM 08_탄력성, 고가용성 및 모니터링 09_자동화 10_캐싱 11_결합 해제된 아키텍처 구축 12_마이크로 서비스 및 서버리스 아키텍처 13_RTO/RPO 및 백업 복구 설정 01_AWS소개 1-1 클라우드의 장점 - 자본 비용을 가변 비용으로 대체 - 규모의 경제로 얻게 되는 이점 - 용량 추정 불필요 - 속도 및 민첩성 개선 - 중요한 문제에 집중 - 몇 분 만에 전 세계에 배포 1-2 Well Archite..
AWS_Auto Scaling
·
Cloud/AWS
- 목차 - 1. Auto Scaling 2. 실습- AMI 3. 실습 - 시작 템플릿 4. 실습 - Auto Scailing 5. 실습 - Auto Scaling & Load Balancing 1. Auto Scaling AWS Auto Scaling은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용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최대한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성능을 유지합니다. AWS Auto Scaling을 사용하면 몇 분 만에 손쉽게 여러 서비스 전체에서 여러 리소스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규모 조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aws.amazon.com/ko/autoscaling/) 2. 실습 - AMI 2-1. AMI 생성 2-2. 이미지는 스냅샷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2-3. 생성..
AWS_로드 밸런서, 대상 그룹
·
Cloud/AWS
- 목차 - 1. 실습 - 로드 밸런싱 1. 실습 - 로드 밸런싱 1-1. index.html 내용 수정 및 http 시스템 시작. 동일한 설정을 다른 서버에도 적용 1-2. 대상 그룹 생성 1-3. 대상 그룹 생성 설정 1-4. 로드 밸런서 생성 1-5. 로드 밸런서 설정 1-6. 로드 밸런싱 확인
AWS_RDS_WordPress 설치
·
Cloud/AWS
- 목차 - 1. WordPress 설치 1. WordPress 설치 1-1. 관리자 모드 설정 1-2. WordPress 다운로드 1-3. 다운로드한 파일 압축 풀기 1-4. wordpress 하위 파일들을 /var/www/html로 복사 1-5. 소유권 변경 1-6. httpd.conf 파일 수정 1-7. /html/하위 php파일 복사 1-8. wp-config.php 파일의 database_name_here을 mydb로 변경. 여기서 database name은 AWS RDS에서 생성한 데이터베이스의 DB 이름을 적용. 1-9. wp-config.php 파일의 username_here을 admin로 변경 1-10. wp-config.php 파일의 password_here을 it12345!로 변경 1..
AWS_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
Cloud/AWS
- 목차 - 1. RDS란? 2. 실습 1. RDS란?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Amazon RDS)는 AWS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쉽게 설치,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산업 표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경제적이고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용량을 제공하고 공통 데이터베이스 관리 작업을 관리합니다. (출처: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RDS/latest/UserGuide/Welcome.html) 2. 실습 2-1. Amazon RDS → 데이터 베이스 생성 2-2. 설정에 맞춰서 데이터 베이스 생성 2-3. 생성 중 확인 2-4. 생성이 완료 되면 엔드 포인트 확인. 여기서 엔드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