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2019_DNS_정방향 조회 영역
·
IT/Windows server
-목차- 1. Windows2019 DNS 실습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리눅스에서 했던 DNS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는 윈도우에서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카테고리 → DNS 관련 게시글에 DNS 이론은 적어 놓았으니 이번에 따로 이론을 설명드리진 않겠습니다. 1. Windows2019 DNS 실습 1-1. 서버 관리자 → 관리 → 역할 및 기능 추가 1-2. 서버 역할 → DNS, 웹서버 1-3. 역할 서비스 선택 후 설치 1-4.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도구→DNS 실행 1-5. 정방향 조회영역 우클릭 → 새 영역 1-6. 현재 사용하고 있는 win2019를 주영역으로 설정 1-7. 영역 이름 설정 1-8. 새 영역 파일 만들기 1-9. 동적 업데이트 허용 안함 1-10. 새 영역 설정 확인 후 마무리 ..
윈도우2019_공유, 권한, 보안, NTFS
·
IT/Windows server
-목차- 1. 공유 권한 (네트워크 통해서 접근하는 사용자 및 그룹) 2. NTFS 권한 (로컬에서 접근하는 사용자 제어) 3. Windows2019 실습 1. 공유 권한 (네트워크 통해서 접근하는 사용자 및 그룹) 1. 읽기 2. 쓰기 3. 수정 2. NTFS 권한 (로컬에서 접근하는 사용자 제어) 1. 읽기 및 실행 : 파일 내용 보기, 내용 수정 불가, 파일 및 폴더 생성 불가 2. 쓰기 : 파일 및 폴더 생성 가능, 삭제 불가능, 파일 내용 수정 가능, 이름 변경 불가 3. 수정 : 파일 및 폴더 생성 및 삭제 가능, 이름 변경 가능 4. 모든 권한 3. Windows2019 실습 3-1. 이 설정에 맞춰서 실습을 진행 해보겠습니다. 3-2. 사용자 및 그룹 설정을 위해 w2019에서 실행창 입력..
리눅스_Mail_Sendmail, Dovecot
·
IT/Linux
-목차- 1. Mail 2. Mail 실습 3. ThunderBird 테스트 1. Mail 1-1. 보내는 메일 서버 SMTP protocol : tcp port : 25 sendmail 1-2. 받는 메일 서버 protocol : tcp port : 110 (POP), 143(IMAP) POP : Client메일을 읽으면 Client 쪽으로 다운로드됨, 사용자 전용의 단말이 있는 경우에 사용 IMAP : Client가 메일을 읽어도 서버에 남아있음. 1-3. 메일 전달 순서 MUA → MDA → MTA → MDA → MUA MUA(Mail User Agent) : Client가 사용하는 메일 전용 프로그램 (Thunderbird) MDA(Mail Delivery Agent) : 메일을 서버 사서함에서 ..
리눅스_NFS
·
IT/Linux
-목차- 1. NFS 2. NFS 실습 1. NFS NFS(Network File System) -Network 상에 파일 시스템을 공유 -mount를 통해서 연결하면 Local System에 디스크를 확장하는 역할을 수행 -범용적으로 사용 (거의 모든 cloud와 Virtualization에서 지원) -Network상에서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기 때문에 Network에 병목현상 발생 시 속도가 현저히 느려짐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초기 비용과 운영 비용 및 관리 편의성 때문에 많이 사용 2. NFS 실습 NFS SERVER 2-1. NFS 패키지 설치 2-2. NFS 서버에서 사용할 디렉터리 nfs-s 생성 2-3. NFS 설정 파일 진입 2-4. 접근대상 및 옵션 설정 rw : 쓰기 가능 sync ..
리눅스_WEB_IP별, 사용자별 접근 제어
·
IT/Linux
-목차- 1. IP별 접근 제어 2. 사용자별 접근 제어 지난 게시물에서 실습은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1. IP별 접근 제어 윈도우를 2대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IP는 10.0.0.101, 10.0.0.102 2번 윈도우에 대해서 blog.xinyub.xyz 접속을 제어해보겠습니다. 1-1. IP별 접근을 위해 vir.conf 진입 1-2. 2번째 윈도우(10.0.0.201)에 대해서 blog 접근 제어 주의하실 점은 Order allow, deny는 뒤에서부터 적용됩니다. 아래 실습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Order allow, deny 이므로 10.0.0.201를 먼저 Deny 한 후 나머지 전부에 대해서 Allow가 적용됩니다. 만약 Order deny,allow를 적용하신다면 먼저 전부에 대해서..
리눅스_WEB_Userdir 모듈
·
IT/Linux
-목차- 1. 실습 지난 게시물에서 실습은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1. 실습 Userdir 모듈을 사용해서 리눅스 서버의 사용자마다 자신의 홈 디렉터리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아파치 웹 서버는 이런 기능을 사용자 디렉터리 모듈 (userdir)로 분리해서 제공합니다. 우선 httpd.conf 보다는 모듈 벌로 구성을 권장합니다. 지난 게시물에서 작성했던 것을 지우고, conf.d/ 디렉터리에 모듈 파일을 생성할 계획입니다. 1-1. 우선 지난 시간에 작성했던 것을 지우기 위해 httpd.conf 진입 1-2. 354번째줄부터 작성된 것을 삭제한 모습 1-3. conf.d/밑에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파일 이름은 상관없고. conf파일이면 됩니다. 1-4. vir.conf파일 작성 1-5...
리눅스_WEB_VirtualHost(가상호스트)
·
IT/Linux
-목차- 1. VirtualHost 2. VirtualHost 실습 1. VirtualHost 가상 호스트란 도메인을 이용하여 1대의 서버에서 여러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철저하게 DNS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각 사이트는 반드시 DNS 등록되어야 합니다. Apache에 가상 호스트 설정을 하게 되면 서버에 접속할 때 입력한 도메인명을 통해 보여주어야 할 웹사이트를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해당 내용을 보내주게 됩니다. 2. VirtualHost 실습 지난 게시글에 이어서 실습을 진행하겠습니다! 2-1. 가상호스트 blog 생성. 1번 리눅스에 blog 디렉터리를 만들고, index파일을 설정해보겠습니다. 2-2. 내용은 간단하게 집어넣어 줍니다. 2-3. 2번 리눅스에도 blog 디렉터리를 만들..
리눅스_DNS master&slave, webserver
·
IT/Linux
-목차- 1. Master & Slave 2. Master & Slave 실습 3. Web Server 실습 1. Master & Slave 지난 게시물에 이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기존 설정은 지난 게시물과 동일합니다. - Master와 Slave는 주-보조 관계이며, DNS 서버를 이중화시킵니다. - Slave는 여러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aster-Slave는 동기화 과정을 통해 zone 파일을 관리합니다. - zone 파일의 SOA 필드에 있는 serial을 확인하며 이 파일이 업데이트되었는지 판단합니다. - serial이 증가 했을 경우 파일이 업데이트된 것으로 판단하고 동기화 과정을 통해 Slave 서버로 zone 파일이 전송됩니다. - Master 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Sl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