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_기본 명령어_01_ls, mkdir, rmdir, vi, cat, touch, rm
·
IT/Linux
1. List List 즉, ls 명령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s -a :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 출력 ls -l :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 출력 명령어는 같이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s -al 사용하면 속성까지 자세히 출력합니다. ls -h : 가독성 좋게 출력 ls -i : 아이노드까지 출력 리눅스에서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고유하는 번호가 있습니다. 이를 inode넘버라고 합니다. 완벽하게 같은 파일이면 inode 넘버가 같습니다. pwd : 현재 사용자가 위치해 있는 디렉토리 확인 2. MKDIR 디렉토리 생성 명령어입니다. 한 번에 여러 개의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mkdir -p : 하위 디렉토리까지 한 번에 생성 3. RMDIR 디렉토..
리눅스_기본 설정 및 클론 만들기, XSHELL 기본 설정
·
IT/Linux
*리눅스는 CentOS7을 설치하였습니다. 리눅스에서는 명령어로 설정을 변경하게 되면 재부팅시에 변경 전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그래서 vi 편집기를 통해 직접 바꿔줘야 합니다. 1. SELinux 비활성화 SELinux는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파일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정의합니다. SELinux에 액세스 할 수 있는 대상을 정하는 룰 세트인 보안 정책을 사용하여 정책에서 허용된 액세스를 실행합니다. SELinux를 비활성화하는 이유는 서버 초기 세팅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라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먼저 vi /etc/sysconfig/selinux 를 통해 vi 편집기를 엽니다. 그다음 6번 라인에 있는 SELINUX=enforcing을SELINUX=disabled 으로 변경해주시고..
가상 머신 설치 후 해야 할 작업
·
IT/Windows server
*VMWARE WORKSTATION PRO를 사용하였습니다. VM에서 가상 머신을 설치한 이후에는 몇가지 작업을 해주셔야합니다. 1. windows update 멈추기 2. ICMP Echo 요청 허용 3. 컴퓨터 이름 변경 4. IP Address 설정 5. VMWare Tools 설치 1. windows update 멈추기 : VM 속도 저하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2. ICMP Echo 요청 허용 : 통신 테스트 3. 컴퓨터 이름 변경 : 관리의 편리성 4. IP Address 설정 : 서버 필수 설정 (고정 IP 설정) 5. VMware tools 설치 : VM용 각종 드라이버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