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그룹 hong에 대해서 quota 설정 후 테스트
grquo 디렉터리 생성 후 /dev/sdc1(ext4) mount
block 단위 quota 설정 soft 할당량 20, hard 할당량 30 유예기간 7일
그룹 hong 생성하고, hong 그룹의 test1, test2 사용자 설정합니다.
#groupadd hong
#useradd -g hong test1
#useradd -g hong test2
grquo 디렉터리 생성 후 /dev/sdc 파티셔닝 진행
#mkdir /grquo
#fdisk /dev/sdc
/dev/sdc1에 대하여 ext4 파일 시스템 적용
#mkfs.ext4 /dev/sdc1
재부팅해도 마운트가 적용되도록 /etc/fstab을 vi 편집기로 열어서 수정해줍니다.
#vi /etc/fstab
remount 해줍니다.
#mount -o remount /grquo
mount 확인했을 때 이런 문구가 있다면 정상적으로 적용된 것입니다.
quotacheck를 활용해서 quota database를 생성해줍니다.
#quotacheck -F vfsv0 -avugm
그룹 hong에 대하여 quota를 설정해줍니다.
#edquota -g hong
용량의 한계는 soft 20M hard 20M로 설정해주었습니다.
유예기간을 설정해줍니다.
#edquota -T -g hong
유예기간은 7일로 설정해줍니다.
quotaon을 사용해서 quota를 실행시킵니다. 테스트를 위해 5M짜리 가짜 파일 a.txt를 생성해줍니다.
#quotaon /grquo
#dd if=/dev/zero of=/home/a/a.txt bs=5M count=1
일반 사용자도 파일을 쓸 수 있게 하기 위해 setfacl 명령어를 활용해줍니다.
#setfacl -m g:hong:rwx /grquo
상태를 관찰해줍니다. soft 20M hard 30M 잘 설정되어있는 것을 확인합니다.
#repquota -avg
test 1 계정으로 접속 후 5M짜리의 가짜 파일을 복사해줍니다. hard 30M로 설정되어 있으니 5M짜리 6개 생성되고 7번째부터는 생성이 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p /home/a.txt /grquo/a1.txt
다시 상태를 확인해보니, 30M 전부를 사용하였고 유예기간이 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pquota -avg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_CentOS7 Apache2 source 설치 (0) | 2022.03.29 |
---|---|
리눅스_패키지, Local repository (0) | 2022.03.29 |
리눅스_quota_user (0) | 2022.03.24 |
리눅스_디스크관리_02_LVM, PV, VG, LV (0) | 2022.03.23 |
리눅스_디스크관리_01_partition,file system, mount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