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VM
Logical Volume Manager의 약자로 물리적인 디스크를 OS단에서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유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장점
LVM은 물리적 스토리지 상위에 추상적 레이어를 생성, Logical Storage 생성 가능
유연한 용량 조절
크기 조정이 가능한 스토리지 풀 제공
자유로운 장치 이름 지정
디스크 스트라이핑, 미러 볼륨 등 제공
2. PV, VG, LV
PV(Physical volume, 물리볼륨) : 실제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물리적인 볼륨 단위로 정의
VG(Volume group, 볼륨그룹) : 여러 개의 PV를 그룹으로 묶은 것
LV(logical volume, 논리볼륨) : VG를 다시 적절한 크기의 파티션으로 나눈 각 파티션
명령어
# pvcreate 디바이스명
# pvremove 디바이스명
# pvscan
# pvdisplay
# vgcreate vg명 pv명1 pv명2 ...
# vgremove vg명
# vgreduce vg명 pv명1 pv명2 ...
# vgextend vg명 pv명1 pv명2 ...
# vgscan
# vgdisplay
# lvcreate -L 용량 -n lv명 vg명
# lvremove 디바이스명
# lvreduce 디바이스명
# lvextend -L 용량 디바이스명
# lvdisplay
# lvscan
<생성 실습>
파티셔닝 -> pv 초기화 -> vg 생성 -> lv 생성 -> 파일 시스템 -> 마운트 순서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lv에 용량을 추가로 부여하는 것까지 실습해보겠습니다.
<삭제 실습>
생성의 역순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umount -> lv 삭제 -> vg 삭제 -> pv 삭제 -> 파티션 삭제
<예제>
5G disk를 LVM으로 파티션 만들기
pv 만들기
기존의 centos 볼륨 그룹에 pv 추가하기
/home과 / 에 2G씩 추가 하기
파일 시스템을 확인해서 추가한 2G 확인하기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_quota_group_실습 (0) | 2022.03.25 |
---|---|
리눅스_quota_user (0) | 2022.03.24 |
리눅스_디스크관리_01_partition,file system, mount (0) | 2022.03.23 |
리눅스_DAS, NAS, SAN (0) | 2022.03.22 |
리눅스_사용자 계정 및 그룹 관리_02_/etc/default/useradd, /etc/login.defs, /etc/skel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