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_하드링크와 심볼릭 링크

2022. 3. 16. 14:52·IT/Linux
반응형

리눅스에는 2개의 링크가 존재합니다. 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심볼릭 링크는 윈도우의 바로가기 아이콘과 비슷한 의미를 가집니다.

Hardlink

  • inode 번호를 공유하는 완벽하게 동일한 파일
  • 원본 파일을 삭제해도 사본 파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ln 원본 파일명 사본 파일명
  • 단점 : 파티션이 다르면 사용할 수 없다. 파일 시스템이 다르면 사용할 수 없다.

Symboliclink(Softlink)

  • Hardlink의 단점을 보완
  • 파티션과 파일 시스템이 달라도 사용 가능
  • 윈도우의 단축 아이콘과 같은 기능
  • ln -s 원본 파일명 사본 파일명
  • 반드시 사본 파일의 위치에서 원본 파일을 지정해야 한다 (사본위치 먼저 작성한 다음 원본을 작성하면 편하다)
  • 단점 : Data영역에서 원본 파일의 파일 명을 참조하기 때문에 파일이 삭제되면 Link가 깨진다.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0바이트의 test.txt라는 파일을 만들어주고 inode값을 확인해줍니다.

그 다음 심볼링링크로 symbol.txt, 하드링크로 hard.txt 를 각각 연결해주었습니다.

원본파일인 test.txt와 하드링크인 hard.txt의 inode는 67158310으로 같은걸 볼 수 있습니다.

 

원본파일인 test.txt를 삭제한다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symbol.txt.는 test.txt와의 링크가 깨져버려 사용이 불가능한 것을 볼 수있습니다.

그에반해 hard.txt.는 여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symbol.txt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test.txt라는 이름을 가진 파일을 다시 생성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_압축_zip, gzip, bzip2, xz  (0) 2022.03.16
리눅스_tar(tape archive)  (0) 2022.03.16
리눅스_기본 명령어_02_cp,ln,mv  (0) 2022.03.15
리눅스_호스트 이름 변경, 별칭 사용하기  (0) 2022.03.15
리눅스_기본 명령어_01_ls, mkdir, rmdir, vi, cat, touch, rm  (0) 2022.03.15
'IT/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눅스_압축_zip, gzip, bzip2, xz
  • 리눅스_tar(tape archive)
  • 리눅스_기본 명령어_02_cp,ln,mv
  • 리눅스_호스트 이름 변경, 별칭 사용하기
nyub
nyub
  • nyub
    xinyub cloud
    nyub
  • 전체
    오늘
    어제
    • 전체 글 (165)
      • Cloud (17)
        • AWS (12)
        • KT (3)
        • NHN (2)
      • IT (131)
        • Network (22)
        • Linux (41)
        • Windows server (30)
        • Docker (9)
        • Terraform (5)
        • Git, Github (3)
        • Kubernetes (9)
        • CI CD (11)
        • 기타 (1)
      • Etc (17)
        • TroubleShooting (12)
        • Other Info (4)
        • 자격증 (1)
  •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nyub
리눅스_하드링크와 심볼릭 링크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