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제 1
2. 예제 2
예제 1
<예제 1>
vsftpd 설치
anonymous 사용 금지
xferlog 사용
xferlog 파일 위치 /ftp
chroot 파일 사용, 파일 위치 /ftp
사용자 aaa, bbb 생성 후 bbb만 chroot 적용
Active Mode 사용
idle time = 3분, 데이터 전송 중이라도 1분이 넘어가면 종료
banner_file=/ftp/ftp 파일 생성하면 파일로 배너 표시 가능함. 반드시 경고 문구 작성하기
사용자의 home 디렉터리에 각각 300M와 3M짜리 파일 생성할 것. 기왕이면 사용자 이름과 비슷한 파일
client에서 접속 후 업, 다운로드 테스트. 단 사용자 측 디렉터리는 바탕화면
방화벽을 수정해서 permenent 방식이 아닌 1회성 방식 사용
1-1. vsftpd 패키지 설치
1-2. vsftpd 설정 파일 vi 편집기로 열기
1-3. anonymous 사용 금지
1-4. 끝나고 log를 살펴보기 위해 설정
1-5. 로그 파일의 위치 설정
1-6. chroot list 설정 및 설정 파일 위치
1-7. user 생성
1-8. chroot_list 설정. 문제에 따라 bbb만 추가
1-9. chroot 적용 사용자의 경우 이 설정이 반드시 필요 (없을 시 업로드 불가)
1-10. 문제에 따라 3분, 1분으로 설정
1-11. 배너 파일 작성
1-12. 배너 파일 위치 설정
1-13. vsftpd 시스템 재시작
1-14. 방화벽 설정. 20,21번 포트를 열어줍니다.
1-15. 업/다운로드 테스트를 위해 가짜 파일 생성
1-16. 가상 머신 윈도우에 ftp 접속한 모습. 접속 하자 배너가 잘 보이는 모습.
#lcd desktop을 이용해서 다운로드하는 파일이 바탕화면에 다운로드되도록 설정
#get bbb.txt로 바탕화면에 다운로드
1-17. 업로드도 해봅시다. bbb1.txt를 bb1.txt로 이름을 바꿔서 업로드하고 확인.
1-18. log를 확인. 업/다운로드하는 로그만 표시됩니다.
예제 2
리눅스_네이버클라우드 ncloud 서버 생성
1. ncloud https://www.ncloud.com/ NAVER CLOUD PLATFORM cloud computing services for corporations, IaaS, PaaS, SaaS, with Global region and Security Technology Certification www.ncloud.com ncloud를..
xinyub.tistory.com
<예제 2>
ncloud 환경에서 설치
vsftpd 설치
anonymous 사용 및 upload 허용 (homedirectory허용)
xferlog 사용
xferlog 파일 위치 /data
chroot 파일 사용, 파일 위치 /data
사용자 a, b 생성 후 a만 chroot 적용
active 모드 사용
idletime = 2분, 데이터 전송 중이라도 1분이 넘어가면 종료
banner_file=/data/ftp 파일 생성하면 파일로 배너 표시 가능함. 반드시 경고 문구 작성하기
사용자의 home 디렉터리에 각각 100M와 1M짜리 파일 생성할 것. 기왕이면 사용자 이름과 비슷
clinet에서 접속 후 업, 다운로드 테스트할 것.
단 사용자 측 디렉터리는 바탕화면
윈도우 내장 ftp app 활용
방화벽 수정해서 permanent 방식이 아닌 1회성 방식
xferlog에서 사용자의 활동 파악
2-1. ncloud 리눅스 환경에서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ncloud 관련 포스팅은 위에 링크 걸어두었습니다.
vsftpd 패키지를 설치해줍니다.
2-2. ftp 설정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 vi 편집기 진입
2-3. anonymous 사용
2-4. xferlog 사용
2-5. 유저 생성 및 chroot파일에 a 추가
2-6. chroot 사용 및 chroot 파일 위치 설정
2-7. 문제에서 지시한 대로 2분, 1분으로 각각 설정
2-8. chroot 관련 설정 기입
2-9. 배너 파일 생성
2-10. 배너 내용 기입
2-11. 배너 파일의 위치 설정
2-12. vsftpd 시스템 시작 및 현재 상태 active 확인
2-13. 방화벽 시스템 시작 및 20,21번 포트 추가
2-14. 업/다운로드 테스트할 가짜 파일 생성
2.15. ncloud 공인 IP를 공유하여 외부에서 파일 업로드한 모습. 04조_이신엽. txt라는 파일이 새로 생성되었습니다.
업로드된 파일도 간단하게 내용을 확인한 모습.
2-16. window cmd에서도 확인한 모습. 업로드된 새로운 파일들을 확인.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_DNS 서버 구축 , 도메인 설정_정방향, 역방향 (0) | 2022.04.19 |
---|---|
리눅스_FTP_Passive mode 예제_Filezila, wireshark (0) | 2022.04.14 |
리눅스_FTP_vsftpd, vsftpd.conf, firewall-cmd, ftp 기본 명령어 (0) | 2022.04.14 |
리눅스_네트워크 상태 확인_netstat (0) | 2022.04.01 |
리눅스_네이버클라우드 ncloud 서버 생성 (0) | 2022.04.01 |